Post

행복은 어디에 있는가 [What is my happy life?]

글을 쓴다는 건 품이 많이 드는 일이다. 내 생각과 감정을 정리하는 것도 쉽지 않은데, 그것을 글로 표현한다는 건 시간과 여유가 없으면 하기 어려운 일이다. 이 말인즉슨 그동안 나는 시간과 여유가 없었다는 것이고, 지금은 글을 쓸 만한 여유가 조금 생겼다는 거겠지 (그것이 여유를 가장한 일시적 도피일지라도). 어쨌든 내 나이 만 서른다섯, 행복한 삶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졸업 논문의 마지막, 감사의 글에서 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어쨌든 지금의 행복을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가만히 생각해봤을 때, 이 때까지만, 아니 작년까지만 해도 그저 내가 나아가는 길에 적당한 행복이 놓여있었던 것 같다. 자의로든 타의로든 내가 해야 할, 그리고 이뤄야 할 일들의 윤곽이 어느 정도 명확했고, 나는 기회비용을 고려하며 그냥 나아가기만 하면 되었다. 하지만 지금은? 사실 올해부터 내가 세상을 마주하는 자세가 좀 달라졌음을 느낀다. 내 나이가 주는 사회적인 위치 때문일 수도 있고, 아니면 세월에 의한 생물학적인 변화가 무의식적이지만 직접적으로 내가 생각하는 방식을 바꿔놨을 수도 있고. 아무튼 행복한 삶이라는 것에 대해, 좋게 얘기하면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아졌다고 할 수 있고 (이 박사의 영전이 나의 생각을 더 자유롭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나쁘게 말하자면 기회비용 대비 절대 우위를 갖는 선택지가 현재로서는 없다는 게 나를 괴롭게 하는 부분인 것 같다 (그래도 긍정적인 부분은 나의 행복한 삶이 주변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나는 혹시 진지한 고민을 빙자하여 자기합리화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일까. 이상과 현실, 낭만과 가성비 사이에서 놀아나고 있는 건 아닐까. 현재 선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에 대해 열어두고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긴 한데, 상황에 따라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지 스스로에게 자문하며 고민을 계속 해봐야겠다. 지금 당장으로서는 이게 각오이자 행동 강령이라고 생각하는 게 심리적인 위안을 줄 수도…
Writing is a very demanding task. It’s hard enough just to organize my own thoughts and feelings, and putting them into words is something that’s difficult to do without a lot of time and space. This means that until now, I haven’t had that time or space, and now I have a bit more freedom to write. Even if it’s a kind of escape disguised as freedom. Anyway, at 35 years old, I am seriously contemplating what a happy life is. At the end of my graduation thesis, in the acknowledgements, I wrote: “In any case, I will strive to protect my happiness now.” Thinking back on it, until then, or rather, until last year, happiness just seemed to be a natural part of the path I was on. Whether by choice or by necessity, the outline of the things I had to do and achieve was fairly clear, and I just had to keep moving forward while considering the opportunity cost. But now? I’ve actually felt a shift in how I face the world since the beginning of this year. It could be due to my social standing at this age, or maybe the biological changes that come with time have unconsciously but directly altered the way I think. In any case, when it comes to a happy life, to put it positively, I have more choices (Dr. Lee’s promotion has also made my thinking freer), and to put it negatively, there is currently no option that has an absolute advantage over the opportunity cost, and that seems to be the part that’s tormenting me. (Still, the positive side is that my happy life is not determined by those around me, but by my own choices). Am I walking the path of self-justification disguised as serious contemplation? Am I being swayed between ideals and reality, between romance and cost-effectiveness? I am keeping all my options open and doing what I can, but I need to continue to ask myself what decisions I should make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now, thinking of this as my resolve and code of conduct might offer some psychological comfort.

(The English part was translated by Gemini; Google, followed by a little editing by me)

0026 작년이랑 같은 나라가 맞는지 의심이 될 정도로 봄여름 날씨가 끝내줬던 영국 The spring and summer weather in the UK was so amazing that I doubted if it was the same country as last year 0026 어떻게 저러고 자지… How can he sleep like that… 0026 이제는 다시 볼 수 없는 모습 A sight that can never be seen again 0026 안녕, 영국에서의 처음이자 마지막일 내 차 Goodbye, my first and last car in the UK 0026 신선했던 맨체스터의 건물과 거리 Fresh buildings and streets of Manchester 0026 바스, 듣던대로 아름다웠던 작은 도시 Bath, a small city as beautiful as I’d heard 0026 열심히 파리 구경 중 Watching a fly diligently 0026 이상한 나라에 나 홀로 Alone in Wonderland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Trending Tags